평소 귀여운 우리 고양이, 그런데 어느 순간 다가왔을 때 입에서 심한 냄새가 난다면?
고양이의 구취는 단순한 입 냄새일 수도 있지만, 때로는 건강 이상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고양이 입 냄새의 주요 원인과, 상황별 관리법 및 예방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1. 고양이 입 냄새의 흔한 원인
① 구강 위생 문제
- 치석과 플라그 축적
- 양치 부족으로 세균 번식
- 치은염, 구내염 초기 증상
② 치주 질환
- 치아 주변 염증, 잇몸 출혈
- 심한 경우 치아 흔들림, 통증 동반
③ 구강 내 상처 또는 이물질
- 사료나 장난감 파편이 끼어 세균 증식
- 입안 궤양, 혓바닥 상처
④ 음식물 잔여물
- 습식사료, 간식 후 입 안에 남은 찌꺼기
- 어패류, 닭고기 간식 등은 냄새가 더 심함
2. 질병에 의한 구취 신호
단순 입 냄새가 아닌 경우, 다음과 같은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
① 만성 구내염
- 입 안 전체 염증, 침 흘림 동반
- 식욕 저하, 통증으로 인해 식사 거부
② 신부전 (만성신장질환)
- 암모니아 냄새와 비슷한 강한 구취
- 물 섭취 증가, 체중 감소 동반
③ 당뇨병
- 과일향 비슷한 단내가 나는 경우
- 다식, 다뇨, 체중 감소 증상 확인
④ 위장관 문제
- 소화불량, 역류, 구토 잦은 경우
이처럼 고양이 입 냄새는 단순 구강 문제를 넘어서 전신 질환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.
3. 집에서 할 수 있는 구강 관리법
- 주기적인 양치질: 고양이 전용 치약과 칫솔 사용
- 덴탈 트릿(구강 관리 간식) 활용
- 덴탈 워터 첨가제 사용
- 딱딱한 사료로 자연스러운 치아 마찰 유도
- 정기적으로 입 안 상태 점검하기
꾸준한 관리만으로도 치석 형성 속도를 늦추고, 입 냄새를 줄일 수 있습니다.
4.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
- 냄새가 갑자기 심해졌을 때
- 침을 많이 흘리거나, 입 주변을 자주 긁을 때
- 입 안이 붉거나, 출혈이 보일 때
- 식사량 감소, 체중 감소가 동반될 때
치석이 심할 경우 동물병원에서 마취 후 스케일링이 필요할 수 있으며, 질환이 의심되면 혈액검사와 추가 진단이 진행됩니다.
마무리하며
고양이 입 냄새는 단순한 위생 문제로 생각하기 쉽지만, 건강의 적신호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.
정기적인 구강 관리와 함께, 평소와 다른 구취가 느껴진다면 빠르게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우리 고양이의 건강한 숨결을 위해 오늘부터라도 구강 관리 루틴을 만들어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