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사라면 한 번쯤은 경험해보셨을 거예요. 고양이가 갑자기 ‘컥컥’ 거리더니 토를 하는 모습.
보고 있으면 놀라고 당황스럽죠. “혹시 어디 아픈 건가?” 걱정부터 앞서게 되잖아요?
하지만 고양이의 구토, 항상 병적인 건 아니라는 거 아시나요?
오늘은 고양이 구토의 원인과 증상, 그리고 대처 방법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.
고양이 구토, 얼마나 흔한가요?
의외로 고양이의 구토는 꽤 흔해요.
특히 장모종 고양이의 경우, 털을 핥는 습성 때문에 헤어볼 토가 자주 일어나죠.
가끔 토하는 것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어요.
하지만 자주 반복되거나, 구토물에 이상 징후가 있다면 그땐 주의가 필요해요.
고양이 구토의 대표적인 원인들
① 헤어볼 (Hairball)
자기 몸을 핥으며 삼킨 털이 위에서 뭉쳐서 토하게 되는 경우예요.
보통 길쭉하거나 둥근 털 덩어리를 토해내요.
② 사료를 너무 급하게 먹었을 때
특히 다묘 가정에서 경쟁적으로 먹는 경우, 사료를 통째로 삼키듯 먹다 토하기도 해요.
이럴 땐 구토물에 소화되지 않은 사료가 그대로 나와요.
③ 위장 질환, 소화 장애
잦은 구토나 구토 후 무기력한 모습이 있다면 장염, 췌장염 등 질환일 수 있어요.
소화효소 부족, 위염 등도 구토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.
④ 이물질 섭취
비닐, 실, 플라스틱 조각 등을 삼킨 경우 구토 반응이 나타나요.
심한 경우 장 폐색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.
⑤ 기생충 또는 바이러스 감염
특히 어린 고양이의 경우, 내부 기생충이나 전염병 감염으로 구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.
구토 색깔과 내용물로 보는 원인 분석
구토물의 색이나 모양만 봐도 어느 정도 원인 추측이 가능해요.
- 투명하거나 하얀 거품: 위산이나 공복 구토 가능성
- 노란 액체: 담즙성 구토, 공복 시간이 길어진 경우
- 갈색, 커피색: 출혈 가능성 있음 → 병원 진료 권장
- 털 덩어리: 헤어볼 구토, 정기적인 관리 필요
- 사료 통째: 급하게 먹은 경우 → 식사 속도 조절 필요
구토가 위험한 신호일 수 있는 경우
단순 구토와 달리, 아래 증상들이 동반되면 즉시 병원 방문이 필요해요.
- 하루 2회 이상 반복 구토
- 구토 후 무기력하거나 식욕 저하
- 구토물에 피가 섞여 있음
- 설사, 발열, 호흡 곤란 등의 동반 증상
- 이물질을 삼킨 의심이 있을 때
집에서 할 수 있는 구토 대처법
가벼운 구토라면 집에서도 간단히 조치가 가능해요.
① 12시간 금식
위장을 쉬게 해주는 게 중요해요. 단, 물은 소량씩 자주 제공해주세요.
② 식사량 조절
급하게 먹는 습관이 있다면 소분해서 여러 번 나눠주거나 자동급식기 사용도 좋아요.
③ 헤어볼 케어 제품 활용
정기적인 빗질과 함께 헤어볼 제거용 간식이나 페이스트를 주는 것도 방법이에요.
고양이 구토, 예방이 중요해요
무엇보다 꾸준한 관찰과 관리가 중요하죠.
아이들이 무엇을 먹는지, 식습관은 어떤지 평소 잘 살펴보는 게 가장 큰 예방이에요.
건강한 사료 선택, 스트레스 최소화, 정기적인 브러싱도 잊지 마세요!
정리하며
고양이의 구토는 무조건 무서워할 필요는 없지만, 무시해서도 안 돼요.
작은 신호를 캐치하는 게 바로 집사의 역할이니까요.
이 글을 통해 우리 냥이의 몸 상태를 좀 더 이해하고, 건강 관리에 도움되셨길 바라요!